2016년 시행 서울시 7급 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A책형]

건축구조

문제풀기

문 1. 건축구조기준에 따른 철근의 정착 및 이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2. 활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문 3. 다음 그림의 하중을 받는 정정 트러스 구조물에서 부재 ①,②,③,④,⑤에 는 인장력 또는 압축력이 작용한다. 다음 중 같은 종류의 부재력이 작용하는 부재끼리만 나열한 것은?

문 4. 다음 중 강도설계법에 의한 보강조적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5. 다음 중 무량판 2방향 슬래브에서 테두리보를 제외하고 슬래브 주변에 보가 없거나 보의 강성비 αm이 0.2 이하일 경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최소 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400MPa, n은 부재의 순경간이다.) 

문 6. 다음 중 건축물의 중요도 분류에서 중요도(특)에 해당하는 건축물은?

문 7. 다음 중 장선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8. 철근콘크리트 2방향 슬래브를 직접설계법을 사용하여 설계 하려고 할 때 만족시켜야 할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9. 다음 그림과 같은 단순보 반원 아치 구조의 단면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아치의 반지름 길이=L) 

문 10. 다음 중 내진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11. 다음 중 옹벽의 구조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 12. <보기>는 등가정적 해석법 중 밑면전단력 산정에 대한 설명이다. 빈칸에 들어갈 사항으로 옳은 것은?

<보기>
밑면전단력 V는 다음 식에 따라 구한다.
V=CsW
여기서, Cs : 지진응답계수, W : 고정하중과 아래에 기술한 하중을 포함한 유효 건물 중량

가. 창고로 쓰이는 공간에서는 활하중의 최소 ( ㉠ )(공용 차고와 개방된 주차장 건물의 경우에 활하중은 포함시킬 필요가 없음)
나. 바닥하중에 칸막이벽 하중이 포함될 경우에 칸막이의 실 제 중량과 ( ㉡ ) 중 큰 값
다. 영구설비의 총하중
라. 적설하중이 ( ㉢ )을 넘는 평지붕의 경우에는 평지붕 적설하중의 ( ㉣ )

문 13. 그림과 같은 정정라멘에서 E점에 서의 휨모멘트(ME)와 F점에서의 전단력(VF)의 크기는 각각 얼마인가?

문 14. <보기>와 같은 강구조 인장부재의 설계인장강도를 건축 구조기준 한계상태설계법으로 산정하면? (단, 소수점 아래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한다.) 

<보기>
∙ 총단면적 : 2,800mm2
∙ 유효순단면적 : 2,500mm2
∙ 항복강도 : 240N/mm2
∙ 인장강도 : 400N/mm2
∙ 블록전단에 의한 파단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문 15. 다음 중 건축구조기준 용어와 그 정의가 옳은 것은?

문 16. 다음 중 연약지반에서 부등침하를 방지하는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17. 두께 150mm인 1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축 ․ 온도 철근을 배근하고자 한다. 단위 폭(1m)에 필요한 최소철근 량을 계산하면 얼마인가? (단, 철근의 설계기준항복강도 fy=400MPa)

문 18. 다음 중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설계 시, 특수모멘트 골조의 휨부재에 사용하는 횡방향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19. 그림과 같은 두 개의 캔틸레버 보 (A), (B)에서 자유단의 처짐이 같아지기 위한 (A)보 단면의 폭 b값은 얼마인가? (단, 두 보의 탄성계수는 같다.)


 

문 20. 다음 강재 기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SMA 490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