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시험일정
2016년 시행 서울시 7급 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A책형]
반응공학
타이머 설정
실제 시험처럼 제한시간에 맞추어 기출문제를 풀려면 '타이머적용' 버튼을 클릭하세요.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40분
(주의 : 타이머 적용시 문제를 다 못 풀더라도 제한시간이 지나면 강제로 시험이 종료됩니다.)
기출문제 풀이는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문제풀기
문 1.
다음 중 촉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반응속도를 변화시킨다.
반응평형상수를 변화시킨다.
전이상태이론에 의하면 활성화에너지를 변화시킨다.
반응수율과 선택도에 영향을 준다.
문 2.
비가역 1차 등온 액상반응(A→R)을 혼합흐름반응기(CSTR)에서 진행하여 50%의 전화율을 얻었다. 이 반응기에 동일한 크기의 혼합흐름반응기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최종 전화율이 90%와 95% 사이에 존재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반응기의 수로 옳은 것은?
1개
2개
3개
4개
문 3.
다음의 액상 반응이 혼합흐름반응기(CSTR)에서 일어난다. 반응물 A의 초기농도가 2mol/L일 때 전화율이 0.5였다면, 생성물 R의 최종농도는?
0.1mol/L
0.2mol/L
0.5mol/L
1.0mol/L
문 4.
반응온도를 500K에서 600K으로 증가시켰을 때, 반응속도 상수가 3배 증가하였다. 이 반응에 대한 활성화에너지(E)로 옳은 것은? (단, 반응속도상수는 Arrhenius 관계식을 따르며, R은 기체상수이다. ln2 = 0.7, ln3 = 1.1로 가정한다.)
E= 2100R
E= 2800R
E= 3000R
E= 3300R
문 5.
A → R 단일 반응이 크기가 같은 2개의 혼합흐름반응기(CSTR)에서 일어난다. 전체반응의 전화율은 90%이고, 전체 전화율의 2/3는 첫 번째 반응기에서 달성되고 나머지는 두 번째 반응기에서 달성된다고 할 때, 이 반응의 반응차수는 얼마인가?
0차
0.5차
1차
2차
문 6.
비가역 1차 액상 기초반응 A→B를 회분식반응기에서 진행 할 때, 초기농도 1mol/L의 반응물 A를 넣고 시간에 따른 농도를 측정하였더니 다음 표와 같았다.
초기농도를 0.5mol/L로 바꾸어 반응시킬 때, 10시간 후의 전화율은 얼마인가?
0.5
0.33
0.25
0.1
문 7.
발열가역반응의 최적 조작(반응전화율을 극대화하고 반응기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조작)을 위해서 필요한 반응기 온도의 조작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최대한 높은 온도에서 유지한다.
최대한 낮은 온도에서 유지한다.
초기에는 높은 온도에서 운전하다가 점차 온도를 감소시킨다.
초기에는 낮은 온도에서 운전하다가 점차 온도를 증가시킨다.
문 8.
다음 중 체류시간분포(E(t))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모든 시간구간에 대해 적분하면 1이다.
이상반응기 PFR의 E(t)는 지수함수이다.
E(t)를 이용하여 전화율을 구할 수 있다.
평균체류시간을 구할 수 있다.
문 9.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분자도(molecularity)는 반응에 참여하는 분자의 수이다.
비균일상 반응(heterogeneous reaction)의 반응속도는 물질전달 속도의 영향을 받는다.
반응차수에 따라 반응속도상수의 단위는 다르다.
화학반응의 속도식은 항상 화학양론식에 대응한다.
문 10.
아래는 일산화탄소의 비해리 흡착 반응식이고, 이 반응은 기초반응으로 취급할 수 있다.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CO + S ⇄ CO·S
k
a
: 흡착반응속도상수
k
d
: 탈착반응속도상수
K : 흡착평형상수
흡착속도는 CO 분압에 비례한다.
탈착속도는 점유된 활성점의 농도에 비례한다.
흡착속도는 빈 활성점의 농도에 비례한다.
흡착평형상수는 온도와 무관하다.
문 11.
1차 비가역 균일계 기상 기초반응(A → 3B)을 진행하였다. 초기에 A와 불활성기체가 각각 75%, 25%씩 존재하고, 일정 온도 및 일정 압력에서 부피가 변하는 회분식반응기를 이용할 경우, 반응기 부피가 75% 증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인가? (단, 반응속도상수 k=0.1min
-1
, ln2=0.7로 가정 한다.)
7분
10분
11분
14분
문 12.
실제 혼합흐름반응기(CSTR)는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비이상적(non-ideal)인 거동을 보이기도 한다. 이렇게 비이상적인 거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이유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여러 반응물이 충분히 혼합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다.
반응물의 흐름이 정체되어 있는 지역이 존재한다.
반응기 내 온도분포가 매우 균일하다.
반응물이 다양한 상(phase)으로 존재한다.
문 13.
2차반응에서 반응속도를 결정하는 직접적인 인자로 옳지 않은 것은?
점도
온도
농도
촉매
문 14.
1차 비가역 등온 액상반응(A → B)과 2차 비가역 등온 액상반응(2C → D)을 같은 크기의 회분식반응기에서 진행하였다. 반응물 초기농도를 1mol/L로 동일하게 하였을 때, 각각의 반응에서 초기 반응물의 90%가 소모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의 차이는?
(단, 1차 반응속도상수 k
1
=0.1min
-1
, 2차 반응 속도상수 k
2
=0.2L·mol
-1·
min
-1
이고, ln10=2.3으로 가정한다.)
20분
22분
23분
25분
문 15.
비가역 등온 액상반응(A →B)을 회분식반응기에서 진행한 결과, 반응물 A에 대한 반응차수가 n차임을 보였다. 반응물 A의 초기농도(C
A0
)와 반감기(t
½
) 사이의 관계가 다음의 그림과 같다면, 반응차수(n)에 대해 옳게 표현한 것은?
n=0
0<n<1
n=1
n>1
문 16.
2A ⇄ B + C 로 표시되는 기초 액상 비누화 반응이 혼합흐름반응기(CSTR) 내에서 수행되었다. 정반응 속도상수 k = 0.1L·mol
-1
·min
-1
이고, 반응평형상수 K=1, 반응 전 A, B, C의 농도는 각각 C
A0
=2mol/L, C
B0
= C
C0
=0mol/L, 반응기에 공급되는 유량은 1mol/min이다. 평형 전화율의 80%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반응기의 부피는?
3L
4L
5L
6L
문 17.
아래의 암모니아 생성 반응에서 암모니아의 수득률을 높이기 위한 반응조건으로 옳은 것은?
N
2
(g)+ 3H
2
(g) ⇄ 2NH
3
(g) + 22kcal/mol
저온 고압
고온 고압
저온 저압
고온 저압
문 18.
부피와 밀도의 변화가 없는 등온 비가역 2차 액상 반응 (A→B)을 부피의 비(V
CSTR
/V
PFR
)가 10인 혼합흐름반응기(CSTR)와 플러그흐름반응기(PFR)에서 각각 진행하면 최종 전화율은 얼마인가?
0.6
0.7
0.8
0.9
문 19.
다음의 1차 액상 병렬반응이 회분식반응기에서 진행되고 있다. 반응속도상수가 모두 같은 값을 가질 때(k
1
=k
2
=k
3
), 시간(t)에 따른 A, R, S의 농도(C) 변화를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문 20.
다음 그림은 3개의 평행한 지류로 이루어진 3개의 플러그 흐름반응기(PFR)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 원료의 양(F
0
)을 각각 20%, 30%, 50%의 비율로 각 지류에 있는 반응기에 공급하였을 때, 3개의 반응기 부피(V
1
, V
2
, V
3
) 사이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각 지류의 전화율은 동일하다.)
15V
1
=10V
2
=6V
3
10V
1
=15V
2
=6V
3
6V
1
=10V
2
=15V
3
6V
1
=15V
2
=10V
3
제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