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시험일정
2016년 시행 서울시 9급 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A책형]
건축구조
타이머 설정
실제 시험처럼 제한시간에 맞추어 기출문제를 풀려면 '타이머적용' 버튼을 클릭하세요.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40분
(주의 : 타이머 적용시 문제를 다 못 풀더라도 제한시간이 지나면 강제로 시험이 종료됩니다.)
기출문제 풀이는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문제풀기
문 1.
탄성계수 E값이 3.9GPa이고, 포아송비(Poisson s ratio)가 0.3인 재료의 전단탄성계수 G값은 얼마인가?
1GPa
1.5GPa
2GPa
3GPa
문 2.
다음의 설계하중 중에서 목재의 설계허용응력의 보정계수 중 하중기간계수
C
D
가 가장 큰 것은?
고정하중
활하중
시공하중
적설하중
문 3.
단일 압축재의 세장비를 구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부재 길이
단면2차모멘트
지지 조건
탄성계수
문 4.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휨모멘트나 축력 또는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단면의 설계 시 적용되는 설계가정과 일반원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압축철근이 설계기준항복강도
f
y
에 대응하는 변형률에 도달하고 동시에 압축콘크리트가 극한변형률인 0.003에 도달할 때, 그 단면이 균형변형률상태에 있다고 본다.
휨모멘트 또는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부재의 콘크리트 인장연단의 극한변형률은 0.003으로 가정하여야 한다.
철근의 응력이 설계기준항복강도
f
y
이하일 때, 철근의 응력은 그 변형률에 철근의 탄성계수(E
s
)를 곱한 값으로 하여야 한다.
문 5.
건축구조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 중 내진설계 시 고려되는 반응수정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합성 반강접모멘트골조
철골 중간모멘트골조
합성 중간모멘트골조
철근콘크리트 중간모멘트골조
문 6.
조적식 구조의 강도설계법과 경험적 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험적 설계법에서 2층 이상 건물의 조적내력벽 공칭두께 는 100mm 이상이어야 한다.
경험적 설계법에서 조적벽이 횡력에 저항하는 경우에는 전체높이가 13m, 처마높이가 9m 이하이어야 한다.
강도설계법에 의한 보강조적조 휨강도의 계산에서는 조적조벽의 인장강도를 무시한다. 단, 처짐을 구할 때는 제외한다.
강도설계법에서 보강조적조 내진설계 시 보의 폭은 150mm 보다 적어서는 안된다.
문 7.
등분포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균열이 발생할 때 A, B, C 구역의 균열양상으로 옳은 것은?
A : 전단균열 B : 휨균열 C : 휨 ․ 전단균열
A : 휨균열 B : 전단균열 C : 휨 ․ 전단균열
A : 휨균열 B : 휨 ․ 전단균열 C : 전단균열
A : 전단균열 B : 휨 ․ 전단균열 C : 휨균열
문 8.
강재의 좌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부재의 길이가 길수록 더 쉽게 일어난다.
압축과 인장에서 모두 일어난다.
기둥 설계 시에는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좌굴은 탄성 영역에서만 일어난다.
문 9.
장기처짐은 지속하중의 재하기간, 압축철근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처짐을 계산할 때 하중작용에 의한 순간처짐은 부재강성에 대한 균열과 철근의 영향을 고려하여 탄성처짐공식을 사용 하여 산정하여야 한다.
문 10.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W)을 받는 캔틸레버 보의 길이와 단면이 (a) 및 (b)의 두 가지 조건으로 주어졌을 경우 두 보의 최대 처짐비로 옳은 것은?
(a) : (b) = 1 : 1
(a) : (b) = 8 : 1
(a) : (b) = 1 : 8
(a) : (b) = 16 : 1
문 11.
고층 건물에 적용되는 구조시스템인 아웃리거 구조에서 내부의 코어부와 외곽 기둥을 연결할 때 아웃리거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구조부재는 다음 중 무엇인가?
벨트트러스(Belt truss)
링크 빔(Link beam)
합성슬래브(Composite slab)
프리스트레스트 빔(Prestressed beam)
문 12.
강구조에 대한 다음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강재의 단면은 폭 - 두께비에 따라 콤팩트 요소, 비콤팩트 요소, 세장판 요소로 분류한다.
보부재에서 완전소성항복과 비탄성좌굴발생의 경계를 나 타내는 소성한계비지지거리
L
P
는 재료의 항복강도가 높을 수록 커진다.
세장한 단면을 갖는 압축부재의 공칭압축강도는 휨좌굴, 비틀림좌굴, 휨-비틀림좌굴한계상태에 기초하여 산정한다.
강재의 탄소당량이 클수록 용접성이 나쁘다.
문 13.
철근콘크리트 2방향 슬래브 설계에 사용되는 직접설계법의 제한사항 중 옳은 것은?
각 방향으로 2경간 이상 연속되어야 한다.
모든 하중은 슬래브 판 전체에 걸쳐 등분포된 연직하중이어야 하며, 활하중은 고정하중의 2배 이하이어야 한다.
슬래브 판들은 단변 경간에 대한 장변 경간의 비가 2 이상인 직사각형이어야 한다.
연속한 기둥 중심선으로부터 기둥의 어긋남은 그 방향 경간의 최대 20%까지 허용할 수 있다.
문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 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큰 구조물
강성이 크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강성이 작고 반응수정계수가 작은 구조물
문 15.
다음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력이 0인 부재는 모두 몇 개 인가?
0개
3개
6개
7개
문 16.
강구조에서 고장력볼트 접합과 이음부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간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 이상 으로 한다.
고장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두께의 15배 이하 또한 200mm 이하로 한다.
고장력볼트의 마찰접합은 고장력볼트의 강력한 체결력에 의해 부재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는 접합형식이다.
고장력볼트의 지압접합은 부재간에 발생하는 마찰력과 볼트축의 전단력 및 부재의 지압력을 동시에 발생시켜 응력을 부담한다.
문 17.
건축구조기준에서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용도별 최솟값이 가장 작은 것은?
도서관 서고
옥외 광장
창고형 매장
사무실 문서보관실
문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및 크리프는 긴장재에 도입된 프리 스트레스를 손실시킨다.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긴장재에 도입된 프리스트레스의 응력이 감소되는 현상을 릴랙세이션(Relaxation)이라 한다.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단부 정착장치가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하여 처짐 및 진동 제어가 유리하다.
문 19.
단순보의 A, D지점에서의 수직반력(R
A
,R
D
)의 크기는 각각 얼마인가?
문 20.
압연 H형강 H-600×200×11×17(SS400) 보의 플랜지의 판폭두께비는 얼마인가? (단,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한다.)
3.88
4.88
5.88
6.88
제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