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시행 서울시 9급 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A책형]

건축구조

문제풀기

문 1. 탄성계수 E값이 3.9GPa이고, 포아송비(Poisson s ratio)가 0.3인 재료의 전단탄성계수 G값은 얼마인가? 

문 2. 다음의 설계하중 중에서 목재의 설계허용응력의 보정계수 중 하중기간계수 CD가 가장 큰 것은? 

문 3. 단일 압축재의 세장비를 구할 때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문 4.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휨모멘트나 축력 또는 휨모멘트와 축력을 동시에 받는 단면의 설계 시 적용되는 설계가정과 일반원칙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문 5. 건축구조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 중 내진설계 시 고려되는 반응수정계수가 가장 작은 것은?

문 6. 조적식 구조의 강도설계법과 경험적 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7. 등분포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보에서 균열이 발생할 때 A, B, C 구역의 균열양상으로 옳은 것은?

문 8. 강재의 좌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 9.

문 10. 그림과 같이 등분포하중(W)을 받는 캔틸레버 보의 길이와 단면이 (a) 및 (b)의 두 가지 조건으로 주어졌을 경우 두 보의 최대 처짐비로 옳은 것은?

문 11. 고층 건물에 적용되는 구조시스템인 아웃리거 구조에서 내부의 코어부와 외곽 기둥을 연결할 때 아웃리거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구조부재는 다음 중 무엇인가? 

문 12. 강구조에 대한 다음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문 13. 철근콘크리트 2방향 슬래브 설계에 사용되는 직접설계법의 제한사항 중 옳은 것은? 

문 14. 등가정적해석법을 사용하여 중량이 동일한 건물의 밑면전 단력을 산정할 때, 밑면전단력의 크기가 가장 큰 경우는 다음 중 어떠한 경우인가?

문 15. 다음과 같은 트러스에서 부재력이 0인 부재는 모두 몇 개 인가?

문 16. 강구조에서 고장력볼트 접합과 이음부 설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문 17. 건축구조기준에서 기본등분포활하중의 용도별 최솟값이 가장 작은 것은? 

문 18.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 19. 단순보의 A, D지점에서의 수직반력(RA,RD)의 크기는 각각 얼마인가?

문 20. 압연 H형강 H-600×200×11×17(SS400) 보의 플랜지의 판폭두께비는 얼마인가? (단,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