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시험일정
2014년 시행 계리직 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A책형]
한국사
타이머 설정
실제 시험처럼 제한시간에 맞추어 기출문제를 풀려면 '타이머적용' 버튼을 클릭하세요.
10분
15분
20분
25분
30분
40분
(주의 : 타이머 적용시 문제를 다 못 풀더라도 제한시간이 지나면 강제로 시험이 종료됩니다.)
기출문제 풀이는
로그인 후 이용
가능합니다.
문제풀기
문 1.
유네스코에 등재된 유산으로 옳게 연결된 것은?
문화유산 – 영산재, 창덕궁
무형유산 – 강강술래, 아리랑
기록유산 – 훈민정음, 해인사 장경판전
자연유산 – 창녕 우포늪,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문 2.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사회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려시대에는 관청, 소(所), 사찰, 민간에서 수공업 활동이 이루어졌다.
조선 초기에는 직전제를 실시하여 관리들에게 수조권 분급제도를 확대하였다.
15세기 말에 전라도 지방에서 발생한 장시는 조선 후기에 이르러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국가의 특정한 복지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광학보, 제위보, 팔관보 등 보(寶)를 많이 만들었다.
문 3.
다음에서 서술하는 인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책은 (㉠) / 1443 이 가 년의 계해약조 이후 조금씩 이완되는 일본에 대한 통제를 다시 강화하기 위하여 성종 때에 편찬하였다. 일본과 유구국(琉球國)의 지리·국정·풍속 외에도 교빙(交聘)의 연혁이나 통상에 관한 규정을 모아, 조선 초기의 일본에 대한 인식을 정리한 것이다.
집현전 출신 학자로, 『해동제국기』라는 책을 편찬하였다.
소격서를 폐지하여 도교적 의식을 거행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사육신 가운데 한 인물로, 단종의 복위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죽임을 당하였다.
중국의 이상적인 정치 규범인 『주례』를 참조하여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였다.
문 4.
다음은 경남 남해군에서 최근 출토된 은제(銀製) 관식(冠飾)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야에서는 왜(倭)에 파견되는 사신이 사용하였다.
고구려에서는 절풍(折風)을 쓰는 신분층이 사용하였다.
신라에서는 황색 공복(公服)을 입는 관인이 사용하였다.
백제에서는 나솔(奈率) 이상의 관등 소지자가 사용하였다.
문 5.
<보기>의 설명이 모두 해당하는 시대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 부족 단위의 평등사회였다.
◦ 애니미즘, 샤머니즘 등의 주술적 믿음을 갖고 있었다.
◦ 움집 집터의 바닥은 대부분 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다.
◦ 가락바퀴나 뼈바늘의 출토로 보아 수공업이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문 6.
조선 후기 가족제도의 모습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보기 >
ㄱ. 아들이 없을 경우 양자(養子)를 맞는 풍속이 보편화되었다.
ㄴ. 호적에 아들과 딸의 구분 없이 출생 순서대로 기록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ㄷ. 사대부 가문에서의 4대 봉사(奉祀)가 점차 사라졌다.
ㄹ. 남귀여가혼(男歸女家婚)이 점차 쇠퇴한 반면 친영제(親迎制)가 확산되어 갔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ㄱ, ㄹ
문 7.
다음에서 설명하는 신문으로 옳은 것은?
고종은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 내에 박문국(博文局)을 설치하여 신문을 발간하도록 하였다. 박문국의 초대 총재에 민영목을, 부총재에 김만식을 임명하고, 그해 10월 1일에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독립신문
황성신문
제국신문
한성순보
문 8.
일제 강점기 형평운동을 주도한 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보기>
ㄱ. 자신들만의 마을을 이루어 거주하였으며, 상투를 틀거나 두루마기를 입을 수 없었다.
ㄴ. 도살 및 고기 파는 일, 가죽신을 만드는 일, 유기 그릇 따위를 만드는 일에 종사하였다.
ㄷ. 광무개혁으로 법률상 신분의 구분이 없어졌으며, 그 후 사회적 편견과 차별도 점차 축소되어 갔다.
ㄹ. 1910년대 자신들에 대한 신분 차별과 멸시를 타파하려고 진주에서 조선 형평사를 조직하였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ㄱ, ㄹ
문 9.
밑줄 친 ㉠ 이전의 우리나라 사회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방 이후 우정사업의 가장 획기적인 성과는 우체국의 대량 증설에 의한 1면(面) 1국(局) 주의(主義)의 달성이었다. 농어촌에 별정우체국이 설치되어 우체국이 대폭 증설되었다. 이로써 도시와 농촌 간의 통신시설을 균형 있게 제공하게 되었다. 이러한 우편망의 비약적인 신장에 힘을 입어 매일 배달제가 실시되었다.
그 후 우리나라 우편 역사상 처음으로 ㉠
우편번호제가 실시
되었으며 서울중앙우체국에 컨베이어 시스템이 갖추어짐으로써 우편 작업 기계화의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 『한국우정 100년사』 -
경인고속도로 개통
흑백텔레비전 방송 시작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
서울 청계천 복개 공사 완료
문 10.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까지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알려주는 유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ㄱ
ㄴ
ㄷ
ㄹ
문 11.
다음에서 서술하는 인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은/는 붓글씨를 잘 써서 신라의 문인 김생(金生), 고려 문종 때의 유신(柳伸), 고려 중기의 승려 탄연(坦然)과 함께 신품사현(神品四賢)이라 불렸다. ( ㉠ )은/는 도방을 확대하여 내도방·외도방으로 편성하고, 새로이 마별초와 삼별초를 조직하여 무력기반을 크게 확충하였다. 1231년부터 시작된 몽골군의 대대적인 침입에 대비하여 1232년 강화도로 천도하였다.
그는 몽골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하여 초조대장경을 각성(刻成)하였다.
그의 시는 송나라에 널리 알려져 『소화집』이라는 시집으로 간행되었다.
그는 서방을 설치하여 유명 문신을 머무르게 하며 정권 운영의 고문을 담당하게 하였다.
그는 당시 관제나 수령, 토지 등 전반적인 문제에 대한 봉사(封事) 10조를 왕에게 올렸다.
문 12.
밑줄 친 ‘그’의 저술로 옳은 것은?
그
는 이익의 실학사상을 계승하였으며, 삼정의 문란을 폭로하는 ‘애절양(哀絶陽)’이라는 시를 남겼고, 마진(痲疹)에 대한 연구를 진전시켜 의서(醫書)를 편찬하였다.
『과농소초』
『의방유취』
『의산문답』
『흠흠신서』
문 13.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삼국유사』는 1215년에 삼국시대 이래의 고승의 전기를 모아 편찬한 것이다.
『삼국유사』는 삼척 두타산에서 집필된 책으로, 우리의 역사를 서사시로 엮은 것이다.
『삼국사기』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정사류(正史類)로서, 『구삼국사』를 참조하여 편찬하였다.
『삼국사기』는 고려 건국 초에 표방하였던 신라 계승 의식보다는 고구려 계승 의식을 더 많이 반영한 것이다.
문 14.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은/는 “백성을 해치는 자는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여도 내가 용서 못한다. 하물며( ㉡ )은/는 우리나라의 선유에 제사 지내는 곳인데 어찌 이런 곳이 도적이 숨는 곳이 되겠느냐.”라고 하면서 군졸을 시켜 유생들을 해산시켰다.
㉠ - 왜란 때 소실된 경복궁을 재건하였다.
㉠ - 노론의 정신적 지주인 만동묘를 철폐하였다.
㉡ - 조선시대 지방 수령의 자문 전담기관이다.
㉡ - 사액 된 47소 외에는 모두 철폐하라는 명령이 발령되었다.
문 15.
다음에서 서술하는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을/를 다시 짓고 이색을 판개성부사 겸 ( ㉠ ) 대사성으로 삼았다. (중략) 이색이 다시 학칙을 정비하고 매일 명륜당에 앉아 경을 나누어 수업하고, 강의를 마치면 서로 더불어 논란하여 권태를 잊게 하였다.
-『고려사』-
성리학을 중흥하기 위하여 공민왕 때에 중영(重營)되었다.
조선시대에 사헌부, 사간원과 더불어 3사(三司)라고 불렸다.
여러 군현에 설치되어 양인 이상의 신분은 입학이 가능하였다.
7재(七齋)를 두어 학문을 전문화시켰으며, 양현고를 두어 후원하였다.
문 16.
우리나라 교통과 통신에 대한 시대별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라 소지마립간 때 사방에 우역(郵驛)을 두고 관도(官道)를 수리하였다.
고려 후기에 고려가 원에 복속되면서 몽골식 역참(驛站)제도가 시행되었다.
조선 초기에 중앙과 변방을 신속하게 연결하는 군사통신 수단으로서 파발제도를 시행하였다.
조선시대에 역로(驛路) 행정의 총괄은 6조 가운데 병조(兵曹)에서 담당하였다.
문 17.
밑줄 친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민생의 안정과 문화 부흥에 힘쓴
왕
은 『홍재전서』라는 방대한 저술을 남긴 학자 군주였다.
왕
은 서얼과 노비에 대한 차별을 완화하였으며, 재정 수입을 늘리고 상공업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통공 정책을 시행하였다.
인문종합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을 편찬하였다.
창덕궁 안에 명나라 신종을 제사하는 대보단을 설치하였다.
백성의 여론을 직접 정치에 반영하기 위하여 신문고 제도를 부활하였다.
강화도에 외규장각을 두어 왕실의 행사를 기록한 의궤 등 서적을 보관하였다.
문 18.
다음에서 서술하는 인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은/는 영의정 홍순목의 둘째 아들로 1855년 서울에서 출생해 1881년 일본의 역체국(驛遞局)을 방문한 후 우편제도의 편리함을 절실히 깨달았다. 1883년에는 부사의 자격으로 미국 우정성과 뉴욕 우체국 등을 방문·시찰하고 돌아와 고종에게 우편의 필요성을 진언하였다. 그 후 1884년 4월 22일 우정총국을 설립하였으며, 같은 해 12월 4일 갑신정변을 일으켰다.
박정양, 조병직, 이상재, 윤치호 등과 함께 조사 시찰단의 일원으로 몇 개월간 일본에 파견되었다.
왕의 명령으로 서울 전동의 전의감(典醫監) 건물을 개수한 후 우정총국 청사 건물로 사용하였다.
학도(學徒)와 공장(工匠) 수십 명을 이끌고 청나라로 가서 군기제, 전신 전화 등의 기술을 배우도록 하였다.
우정총판에 임명되어 박영효 등에게 사무를 분담하게 하고 일본, 영국, 미국의 공관에 우정국 설립을 통고하였다.
문 19.
밑줄 친 ‘於’의 의미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苛政猛
於
虎
良藥苦
於
口
靑出於藍而靑
於
藍
氷水爲之而寒
於
水
문 20.
㉠~㉢에 공통으로 들어갈 한자로 알맞은 것은?
王侯將相 ( ㉠ )有種乎
王道興而百姓( ㉡ )
( ㉢ )爲鷄口 勿爲牛後
寧
安
康
便
제출하기